깃 플로우를 도입해봐요.
개발자들의 협읍
혼자서 작업할 때 Git Flow(깃 플로우)를 생각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깃허브는 다들 아시다시피 굉장히 좋은 툴입니다. 하지만 좋은 클라이언트가 관리까지 잘 해주진 않아요.
최근 빈번하게 발생한 코드 누락 사태와 같은 코드 관리 사고를 겪고 문제의식을 자각하게 되었습니다.
더 큰 문제를 야기하기 전에 곧장 회의를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간단한 규칙을 정해보기로 했습니다.
저는 회사에서 upstream & downstream 구분없이 메인 레파지토리에서 작업하고 있었습니겟다. CI/CD 및 배포와 관련된 main
과 develop
브랜치가 있고, 이곳으로 여러명이 코드를 병합하는 형태입니다. 그러다보니 병합 간 덮어쓰기로 인한 유실이 빈번합니다. 또한 엄연한 프로덕트 레파지토리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브랜치들이 의미없이 방치되어있고, 이를 메뉴얼하게 삭제하는데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기회에 깃 관리에 대한 명확한 룰을 정하고 지켜나가는 터닝포인트로 만들기로 했습니다.
*📌 목표
git graph
단순화 (꼭 필요한 커밋들만 모읍시다)- 리뷰 문화 만들기 & 클린 코드 & 컨벤션 준수
- 그 와중에 속도 챙기기
Repository 분리
우선 레파지토리 분리를 고려해봤습니다.
현재 단일 레포에서 모든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git-graph
가 관리가 힘들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의미없는 브랜치들이 즐비하고 그래프가 꼬여서 일이 터지면 디버깅하기도 힘이 듭니다. 그래서 작업과 릴리즈 및 코드관리를 분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상황은 팀원이 더 늘어나면 더 심해질거에요. 그 상황이 되면 더 엄격하게 관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아래 그림과 같이 현재 Repository에는 master
, develop
, release tag
만 존재하도록 하는 안을 제안했습니다. 모든 작업은 fork로 복제한 repository에서 pr로 upstream으로 올리도록 하지만 관리자가 따로 있는건 아니고 리뷰 후 승인을 스스로 하도록 하도록요.
이 방식이 필요하다는 것에는 공감했지만 지금 당장 정한 규칙을 팀원들이 잘 지켜만 준다면 당장의 목표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에 공감할 수 있었어요. 그래서 이 방식은 다른 서브 프로젝트에서 체험해보고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깃 플로우 도입
깃 플로우(Git Flow)는 깃을 활용하는 매커니즘같은 것인데 명확하게 정해지거나 권장되는 바는 없고 Best Practice 정도만 존재합니다. 또한 github, bit bucket, gitlab 등 git 서비스마다 각기 다른 플로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깃 플로우가 너무 복잡하고 절차가 많으면 잘 안하게되고, 결국 시간에 쫒겨 흐지부지되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너무 간단하면 관리가 되지 않죠.
아래 그림은 깃 플로우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도표입니다. 놀랍게도 저희가 이미 하던 방식과 유사했습니다. 이 방식은 따라하기 번거롭다고 하던데, 저희는 이대로 하고 있어서 문제 없이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이를 저희 작업방식대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아요. 잘 지켜지지 않던건 리뷰 정도인데 이번 기회를 통해 적절한 수준에서 리뷰도 하기로 했습니다.
깃 규칙 정하기
수많은 깃 액션들을 할 때, 지켜야할 규칙을 명확히 정의했습니다.
branch
생성, commit
생성, push
등등 많은 명령어를 기계적으로 입력하지 않고, 규칙에 의거하기 위함입니다.
branch
위에서 언급한 up & down stream 방식을 쓰지 않는다면 branch
를 적절히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깃 그래프에 브랜치가 여러개 있을 때 작업 상황을 보기 편하기 때문입니다.
- 명명 규칙
브랜치는 기능단위가 아닌 작업단위입니다. 해당 브랜치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간단히 알려주고, 병합되면 사라지는 개념이기 때문에 큰 무게를 두지 않고 다음과 같은 간단한 룰을 정했습니다.
이름 규칙
main -> 최신화된 코드 (운영서버 자동배포)
develop -> 개발용 코드 (개발서버 자동배포)
release -> 릴리즈 (태그로 관리)
feature -> 기능개발
name + ‘/’ + 설명 (이슈 있다면 지라 티켓 사용)
-
생성 규칙
- 항상 develop 브랜치에서 생성한다.
- 생성 전 develop branch가 최신 상태임을 확인한다.
- 명명규칙은 위 6개 항목만 사용한다.
- hotfix는 main에서 생성한다
새로운 브랜치 develop-web
현재 회사에서 활용하는 웹 서비스는 react-native를 웹으로 포팅한 mobile-web입니다. 그리고 브랜치에 코드가 병합되는 순간 mobile-web이 배포되는 상황인데요, 앱은 배포해도 되지만 웹은 배포하면 안되는 코드가 테스트 목적으로 develop 브랜치에 올라갔다가 배포되는 일이 빈번했습니다.
그래서 develop 브랜치를 두개 두자는 의견이 나왔습니다. 앱 테스트용과 웹 테스트용으로 두는 것이죠. 하지만 코드가 꼬여버릴 수 있다는 문제로 일단은 현상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추후 더 큰 문제가 발생한다면 다시 고려해볼 순 있겠네요.
Commit
Commit
은 작업 단위로 사용되기도 한 만큼, 해당 커밋에서 무슨 목적으로 어떤 작업을 했는지 명확하게 설명해야합니다. 또한 특정 브랜치에서 작업이 끝난 후 해당 작업으로 돌아갈 수 있는 플래그 중 하나입니다. 내가 없을 때 내가 만든 커밋을 동료 개발자가 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염두한 단위인 만큼, 명확하게 기록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커밋 템플릿을 도입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컨벤셔널 커밋이라는 사이트를 참고했고, 저희는 너무 많은 종류를 두기보단 직관적인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기능 추가엔 feat, 버그 수정엔 fix, 리팩토링엔 refactor만 사용하기로 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본문에 작성하도록요.
-
commit 메시지는 커밋 템플릿에 따라 간결 & 명확하게 작성합니다.
################ # 제목은 50자 이내 / 끝에 마침표 금지 # 바로 아래 공백은 지우지 마세요 (제목과 본문의 분리를 위함) ################ # 본문(구체적인 내용)을 아랫줄에 작성 # 여러 줄의 메시지를 작성할 땐 "-"로 구분 (한 줄은 72자 이내) ################ #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버그 수정 # refactor: 코드 리팩토링 ################
-
메시지에 한글을 사용합니다.
-
squash를 활용합시다.
목적은 필요한 커밋만 올려서
git graph
를 깔끔하게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작업 시점에는 여러번 커밋을 올려도 되는데, 프로덕션에 올라갈 때는squash
를 통해 단위작업 당 하나로 묶어서 올려줍니다. 가령 작업 기간동안 100개의 커밋을 올렸다면 전부 한번에 올리기보다 작업 단위로 20개씩 커밋을 묶어서 올려주면 깃 그래프 보기에도 편하고, 돌아가기도 쉽습니다.
rebase
코드 유실 사고의 대부분은 이 명령어를 안해서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최신 코드가 아닌데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 후 합치거나, 합치는 시점에 리모트 브랜치를 받아오지 않고 로컬 브랜치에 병합 후 푸시를 하는 경우 등이 있겠죠.
저희는 그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develop을 최신 상태로 만든다. 작업을 마치고 pull request
를 날리기 전에 항상 출처 브랜치를 rebase
해서 conflict
가 없는 최신 상태로 만들고 pr을 올린다는 규칙을 정했습니다.
이 방식대로 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base 브랜치인 main 브랜치가 한 줄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Pull Request
Pull Request는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리뷰를 위해 간단한 설명을 달아놓기로 했어요. 만약 간단한 수정사항이라면 PR 제목만으로도 설명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므로 생략해도 좋다고 합의했습니다.
아래는 PR 템플릿인데요, 리액트 팀에서 활용하는 양식을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테스트 방법에 대한 부분은 오픈소스 프로젝트라 들어가있던 내용인 것 같은데, 추후 테스트 라이브러리 도입 후 요긴하게 쓰일 것 같아 포함시켰습니다.
## 작업 내용 요약
-
## 테스트 방법
-
## 참고사항
Release
develop 브랜치에서, 즉 개발서버에서 검증이 끝났다면 release branch
를 생성하여 릴리즈를 진행합니다. 저희는 리액트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기 때문에 릴리즈하는 경우는 Store Update
와 Code Push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두 경우에 대해 branch 및 tag 이름에 다음의 규칙을 적용합니다.
// Store Update
release/v8.2.0
//Code Push
release/v8.2.0+cp.i100.a200
릴리즈가 문제없이 종료되었다면 Tag를 생성하고 릴리즈 branch를 지워줍니다. 릴리즈 브랜치까지 지우는 이유는 태그가 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고, 롤백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커밋 단위로 돌아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git tag release/
git tag --push
이렇게 발행한 태그에 따라 릴리즈를 생성하여 버전을 관리해주면 깃 플로우는 끝입니다.
생각해볼 사항과 도구들
Git Hook
Git Hook은 여러 깃의 액션 (pull, push, commit ...) 등이 일어날 전후 상황을 캐치해서 동작을 하는 훅입니다.
저는 이 동작을 쉽게 제어하기 위해 husky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commit이나 push를 하기 전에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시켜주는 일종의 방어장치같은 것입니다.
현재 저희는 pre-commit과 pre-push 두개 활용중이고 typeScript와 prettier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지금의 코드가 아직 정돈이 되지 않아 깃 훅에 더 많은 스크립트를 추가하면 진행이 안될 것 같아서 지금은 이 정도만 사용하고, 추후 코드를 조금 더 다듬은 뒤 엄격한 규칙을 적용해볼 생각입니다.
revert
잘못된 작업으로 인해 리셋할 일이 있으면 기록을 위해 git revert
명령어를 활용합니다.
리뷰
조금 느리게 가더라도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다만 팀원들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형태로, 리뷰를 마치고 merge는 본인이 누르는 방식이 좋습니다. review는 책임을 전가하는 형태가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에요. 리뷰의 결과가 어떻든 본인이 생각할 때 좋은 방식과 코드를 병합하는 것이죠.
여러 문서들과 블로그를 보니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정하는 회사들도 있었습니다.
K사 리뷰 규칙
- PR을 할 때 한번에 1000줄을 넘지 않게 한다.
- 리뷰에 감정을 담지 않는다 😆
- 너무 심하지 않으면 효율성 문제는 제기하지 않는다.
저희도 당연히 너무 심한 리뷰나 감정을 담은 태클을 않을겁니다. 반대로 더 나은 서비스 품질과 서로의 성장을 위해 리뷰가 좋은 밑거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마치며
깃 없으면 어떻게 이렇게 여러사람들과 일했을까 싶을 정도로, 깃은 개발자에게 중요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우선 좋은 도구를 잘 다룰줄 알아야 하고, 협업을 위한 도구인 만큼 모두가 동의한 적절한 규칙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깃 관리 방식을 정할 땐 구성원들이 모두 모여서 이야기하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Copyright © HOJUN IN. All rights reserved